[인문/사회]중국현대문학사- 1917년, 그리고 문학혁명 (1)

조회수 903

TITLE: 중국현대문학사 제3판(북경대출판사, 2011) / 중국현대문학사(학고방, 2016)

DIRECTOR · WRITER: 청광웨이(程光炜) 외 4인 / 김경석

BOOK / MOVIE / ETC: 書

SCORE ★★★★★

REVIEW:


어서오세요 본론입니다


시간적 배경: 1915년~1920년 사이

공간적 배경: 주로 상하이(잡지 <신청년>의 발행지)


1. 잡지 <신청년>의 영향력


잡지 <신청년>천두슈가 1915년 9월 15일 상하이에서 창간한 잡지이다. 제 6호까지는 <청년잡지>라는 이름으로 발간되다 내전으로 인한 7개월의 정간 후 1916년 9월 <신청년>이라는 이름으로 복간했다. 제목에서 알 수 있듯 청년 독자들을 대상으로 삼았으며, 입센(H. Ibsen) 등의 서구 문예이론과과 민주주의 등을 소개하며 신해혁명 이후 혼란한 시기에 계몽정신을 지켜 나갔던 잡지이다. 특히 ‘인권’과 ‘과학’ 개념을 처음 소개한 것으로 유명하다.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
<신청년>은 ‘청산’과 ‘건설’이라는 두 개의 차원에서 구식 문화(전통)의 청산신식 문화(서구문명)의 건설이라는 슬로건을 내걸었다. 그 실천 사항은 아래와 같다.


  • 공자와 맹자 및 봉건윤리를 공격할 것

  • 문제의식을 지닌 토론을 구체적인 현실로 끌어들일 것 (노동환경, 여성처우, 교육문제 등)

  • 서구화 전략을 체현하고, 서구 사상을 소개할 것

  • 독자의 적극적 참여와 편집자-독자 간 쌍방향 소통을 표방할 것
    (<신청년>은 독자의 의견과 편집자의 답변을 싣는 ‘문답란’을 중국 언론 중에 최초로 도입했다. 즉,  민주주의를 이념으로 받아들일 뿐 아니라 구체적으로 실천하려 했던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)


또한 천두슈는 문학 창작에서의 기본 정신을 *문학 진화론에 따를 것을 주장하는 글을 게재했다.


“吾国文艺犹尚在古典主义理想主义时代,今后当取向写实主义。(우리나라(중국)의 문예는 아직 고전주의와 이상주의 시대에 처해 있으며, 오늘날에는 마땅히 사실주의의 방향으로 가야 한다)”[1]


*문학진화론: 다윈의 진화론을 문학에 적용시킨 후스의 사상. '작가는 그 시대에 맞게 변화해야 하며, 한 시대에는 그 시대에 맞는 문학이 있다'[2]



2. 문학개량추이 (恩学改良刍议:문학 개량에 대한 작은 의견)


“今日中国文界之雷音 … 详其理由,指陈得失,衍为一文,以告当世。(이 글은 오늘날 중국 문학계의 우렛소리이다 … (문학개량의) 그 이유가 상세하고, 얻을 것과 버릴 것을 명시하며, 이를 모두 펼쳐서 한 편의 글을 만들어 세상에 고한다)”[2] – 천두슈의 평가


미국으로 건너가 유학중이었던 후스는 1916년 10월, 천두슈에게 서신 하나를 보낸다. 그 서신의 내용 일부는 즉시 <신청년> 10월호에 실렸고, 3개월 후 전문이 1917년 신년호에 실린다. 이 서신이 바로 후스의 <문학개량추이>이다. 이 글이 발표된 1917년을 대부분의 학자들은 중국현대문학사 및 ‘문학혁명’의 시발점으로 간주한다. 최초로 중국현대문학이 지켜야 할 원칙을 세부적으로 기초했기 때문이다. 그 원칙은 다음과 같다.

 


 


*산림문학: 자연물에 사상을 기탁하여 쓴 철학적인 문학, 주로 성리학이나 도가사상이 주제가 되었다. 



  

[1] 陈独秀,与张永言的通信,《青年杂志》第4卷1


[2] 胡适,文学改良刍议,《新青年》第5卷2


[3] 陈独秀,《陈独秀书信集》, 北京,新华出版社,1987,p.39




1 0